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두피 질환 치료제, 먹는 약과 바르는 약의 차이점은?

by 두피톡톡 2025. 3. 5.

두피 질환은 가려움증, 염증, 비듬, 탈모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심할 경우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은 질환의 원인과 정도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먹는 약(경구용 약물)과 바르는 약(외용제)으로 나뉩니다. 두 치료법은 각각의 장단점과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증상에 맞는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피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먹는 약

1. 스테로이드제

스테로이드 계열의 약물은 두피 염증을 줄이고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중증 지루성 피부염, 건선, 아토피 등의 두피 질환 치료에 사용됩니다.

  • 장점: 강력한 항염 작용으로 빠른 효과 기대 가능 가려움증과 붉어짐을 신속하게 완화
  • 단점: 장기 복용 시 면역 저하, 위장 장애 등의 부작용 우려 갑작스러운 중단 시 ‘스테로이드 리바운드 현상’ 가능

2. 항진균제

곰팡이균(말라세지아)으로 인한 지루성 피부염이나 두피 백선 치료에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케토코나졸, 이트라코나졸 등이 있습니다.

  • 장점: 곰팡이균 제거 효과로 근본적인 치료 가능 지루성 피부염과 관련된 두피 냄새 개선
  • 단점: 간 독성 가능성이 있어 장기 복용 시 정기적인 간 기능 검사 필요 일부 환자에게서 소화 불량 등의 부작용 발생 가능

3. 항생제

세균 감염으로 인해 두피에 농포(고름)나 염증이 심할 경우 처방됩니다. 독시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등이 대표적입니다.

  • 장점: 염증성 두피 질환(모낭염, 세균 감염 등)에 효과적 항염 작용으로 증상 완화
  • 단점: 장기 복용 시 내성 발생 가능 위장 장애, 장내 유익균 감소 등의 부작용 가능

4. 탈모 치료제

안드로겐성 탈모(AGA) 환자들에게 사용되는 약물로 피나스테라이드(프로페시아), 두타스테라이드(아보다트) 등이 있습니다.

  • 장점: 남성형 탈모 진행 속도를 늦추는 효과 장기 복용 시 모발 밀도 증가 기대 가능
  • 단점: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수개월 소요 성기능 저하, 호르몬 변화 등의 부작용 가능

 

두피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바르는 약

1. 항진균 샴푸

케토코나졸, 피록톤올아민, 징크피리치온 등의 성분이 포함된 샴푸는 지루성 두피염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 장점: 두피를 직접 세정하며 곰팡이균 억제 효과 먹는 약보다 부작용이 적음
  • 단점: 지속적인 사용이 필요하며 즉각적인 효과는 느리게 나타날 수 있음

2. 스테로이드 외용제

클로베타솔, 베타메타손 등이 포함된 연고나 로션이 있으며, 두피 염증이 심한 경우 사용됩니다.

  • 장점: 빠른 항염 효과로 가려움증 및 염증 완화 국소 부위 치료 가능
  • 단점: 장기 사용 시 피부 얇아짐 등의 부작용 가능 과도한 사용 시 전신 흡수 가능성 존재

3. 미녹시딜(발모제)

탈모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바르는 약으로 5% 미녹시딜이 대표적입니다.

  • 장점: 혈류 개선 효과로 모발 성장 촉진 탈모 진행을 늦추는 효과
  • 단점: 사용을 중단하면 효과가 사라짐 피부 자극, 가려움 등의 부작용 가능

 

먹는 약과 바르는 약,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두피 질환 치료제 선택은 질환의 원인과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 가벼운 지루성 두피염, 비듬 → 바르는 항진균 샴푸 추천
  • 심한 두피 염증, 염증성 질환 → 스테로이드 연고 + 먹는 항염증제 조합
  • 곰팡이 감염(두피 백선 등) → 항진균 샴푸 + 먹는 항진균제
  • 탈모 진행 중→ 미녹시딜(바르는 약) + 피나스테라이드(먹는 약) 병행

 

결론

두피 질환 치료제는 먹는 약과 바르는 약으로 나뉘며, 각자의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증상에 맞는 약을 선택하고, 장기 복용 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생활 습관 관리와 함께 꾸준한 치료가 필요합니다.